RS232 serial to USB converter cable schematic pinout

连接器接线计划

按书签这页

cable for interconnection of USB and RS232 serial interfaces

4 pin USB A / USB B / mini-USB jack 连接器

at the computer´s USB cable

   

   

Another scheme:

www.ftdichip.com - look for FT232 drivers

9 pin D-SUB female 连接器

at the computer´s serial cable

Pinouts.ru > Convert one interface to another cables schemes listing >  Pinout of RS232 serial to USB converter cable schematic and layout of 4 pin USB A / USB B / mini-USB jack connector and 9 pin D-SUB female connector

归档状态:

correct

源泉的这和其它信息 : USB to Serial Dongle and www.elektor-electronics.co.uk

4 reports

  

最后更新 Mon May 29 2006.

Is this document correct or incorrect? 什么是您的看法?

  

[讨论论坛] [Back to index] [Add new pinout]

This page contain parts under Copyright © 2000-2007 by pinouts.ru team.

No any portion of this webpage may be reproduced in any form without visible direct link to this page provided. Webmaster permission required in any other cases.

Efforts have been made to ensure this page is correct, bu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user to verify the data is correct for their application.

   

<http://einterfaces.info/SerialPortsCables/usb_serial_adapter.shtml>에서 삽입

[펌]베터리 알고 생명력 쫙~ 늘리기

   터리 충전 시간은 노트북의 전력 소모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사용 시간의 1.3 정도 걸린다. 물론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충전하면 시간이 걸린다. 가령 8시간짜리 배터리라면 충전에만 10시간 40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노트북의 사용 시간을 효과적으로 늘리려면 무작정 배터리 용량을 늘릴 것이 아니라, 배터리의 전원 절약 기술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Photo>>1   전원이 5% 미만 남았을 충전한다

충전한 경우 남은 전원이 5% 미만일 충전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에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많이 쓰이는데, 배터리는 사용 중에도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장점이다. 하지만 리튬이온 역시 충전을 너무 자주 하면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충전했으면 남은 전원이 5% 미만이 때까지 쓰다가 다시 충전하고 일단 충전을 하기 위해 전원에 어댑터를 연결한 경우에는 100% 충전될 때까지 전원을 뽑지 않는 것이 좋다. 노트북을 쓰면서 충전하는 경우에는 충전이 모두 끝나도 전원을 뽑지 말자.

   또한 잠시 노트북을 쓰지 않을 전원을 꺼두는 것이 오히려 배터리 사용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자.노트북의 전원은 부팅시 가장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Photo>>2   자연 방전 상태를 피한다   

일주일 이상 노트북을 사용하지 않을 계획이라면 50% 정도만 충전하고 보관하는 좋다.

충전이 끝난 배터리라도 쓰지 않고 그대로 두면 자연 방전되면서 배터리 용량이 조금씩 떨어진다. 따라서 충전된 배터리는 일주일 내에 쓰고 오랫동안 쓰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를 50% 정도만 충전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배터리 용량이 0% 상태에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나중에 충전이 수도 있기 때문이다.

  Photo>>3   달에 번은 완전 방전한다.

달에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좋다.

보통 배터리 용량이 5% 미만으로 떨어졌을 충전을 해주면 되는데, 달에 정도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떨어져서 노트북이 꺼질 때까지 완전 방전시킨다. 전원이 갑자기 꺼질까봐 걱정할 필요는 없다. 윈도의 전원 관리 기능이 경고 메시지를 보내줄 것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윈도의 '시작설정제어판' 차례로 선택한 '전원 옵션' 항모글 더블클릭한다. 이어서 '경보' 메뉴 탭을 눌러 '배터리 부족 경보' '배터리 위험 수준 경보' 옵션을 선택하면 배터리가 방전되기 직전에 경고음을 울린다.

이렇게 완전 방전이 되면 다음에는 반드시 완전 충전해야 한다. 물론 배터리를 충전할 때마다 완전 방전시킬 필요는 없다.  @Buzz

   

원본 위치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m_id=04&cat_id=&uid=288&page=4>

"고급 Bash 스크립팅 가이드" 라는 주제로 강좌개설되어있는 곳입니다.

http://terminus.pe.kr/doc/abs/


이 가운데 DOS용에서 살펴볼 수 있는 내용~~~^__^ 임돠~


도스(DOS) 배치 파일을 쉘 스크립트로 변환

아주 많은 프로그래머들은 PC 위에서 도는 도스에서 스크립트를 배웠습니다. 기능이 조금 떨어지는 도스 배치 파일 언어로도 꽤 강력한 스크립트나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려면 아주 해박한 지식을 사용해 해결책을 찾거나 꽁수를 부려야 합니다. 가끔은 오래된 도스용 배치 파일을 유닉스 쉘 스크립트로 변환해서 써야될 경우가 생기지만 이렇게 하는것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왜냐하면 도스 배치 파일 연산자들이 기능이 동일한 쉘 스크립트 연산자의 서브셋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표 G-1. 배치 파일 키워드/변수/연산자 와 그에 해당하는 쉘 동의어

배치 파일 연산자 쉘 스크립트 동의어
% $ 명령어줄 매개변수 접두사
/ - 명령어 옵션 플래그
\ / 디렉토리 패스 구분자
== = (같음) 문자열 비교 테스트
!==! != (다름) 문자열 비교 테스트
| | 파이프
@ set +v 현재 명령어를 에코하지 말 것
* * 파일명 "와일드 카드"
> > 파일 재지향(덮어 쓰기)
>> >> 파일 재지향(덧붙여 쓰기)
< < 표준입력 재지향
%VAR% $VAR 환경 변수
REM # 주석
NOT ! 뒤에 나오는 테스트 부정
NUL /dev/null 명령어 출력을 없애기 위한 "블랙홀"
ECHO echo 에코 (Bash 에는 옵션이 많이 있음)
ECHO. echo 빈 줄 에코
ECHO OFF set +v 다음에 나오는 명령어를 에코하지 말 것
FOR %%VAR IN (LIST) DO for var in [list]; do "for" 루프
:LABEL 없음 (필요치 않음) 라벨
GOTO 없음 (대신 함수를 씀) 스크립트의 다른 곳으로 건너 뜀
PAUSE sleep 일정 간격을 두고 잠시 대기
CHOICE case 나 select 메뉴 선택
IF if if-test
IF EXIST FILENAME if [ -e filename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IF !%N==! if [ -z "$N" ] 변경가능한 매개변수인 "N"이 없다면
CALL source 나 . (도트 연산자) 다른 스크립트를 "포함"
COMMAND /C source 나 . (도트 연산자) 다른 스크립트를 "포함"(CALL과 동일)
SET export 환경 변수를 세트
SHIFT shift 명령어줄 변수 목록을 왼쪽으로 이동(shift)
SGN -lt or -gt (정수) 부호(sign)
ERRORLEVEL $? 종료 상태
CON stdin "콘솔"(표준입력)
PRN /dev/lp0 (일반적인) 프린터 디바이스
LP1 /dev/lp0 첫번째 프린터 디바이스
COM1 /dev/ttyS0 첫번째 시리얼 포트

배치 파일은 대개 도스 명령어를 갖고 있습니다. 도스용 배치 파일이 쉘 스크립트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이 명령어들은 꼭 동일한 유닉스 명령어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표 G-2. 도스 명령어와 동일한 유닉스 명령어

도스 명령어 동일한 유닉스 명령어 효과
ASSIGN ln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링크
ATTRIB chmod 파일 퍼미션 변경
CD cd 디렉토리 변경
CHDIR cd 디렉토리 변경
CLS clear 스크린 지우기
COMP cmp or diff 파일 비교
COPY cp 파일 복사
Ctl-C Ctl-C 정지(시그널)
Ctl-Z Ctl-D EOF (end-of-file)
DEL rm 파일 삭제
DELTREE rm -rf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포함해서 삭제
DIR ls -l 디렉토리 보이기
ERASE rm 파일 삭제
EXIT exit 현재 프로세스 종료
FC comm, cmp 파일 비교
FIND grep 파일안에서 문자열 찾기
MD mkdir 디렉토리 생성
MKDIR mkdir 디렉토리 생성
MORE more 텍스트 파일 쪽단위(paging) 필터
MOVE mv 이동
PATH $PATH 실행파일들의 경로
REN mv 이름 바꾸기(이동)
RENAME mv 이름 바꾸기(이동)
RD rmdir 디렉토리 삭제
RMDIR rmdir 디렉토리 삭제
SORT sort 파일 정렬
TIME date 시스템 시간 보여주기
TYPE cat 파일을 표준출력으로 출력
XCOPY cp (확장) 파일 복사

참고: 사실 모든 유닉스, 쉘 연산자, 명령어들은 그들과 동일한 도스용보다 많은 옵션과 강력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많은 배치 파일 스크립트들은 read의 불완전한 버전인 ask.com같은 외부 유틸리티에 의존합니다.

도스는 파일명 와일드 카드 확장에 대해서 오직 *? 문자만을 인식하는 제한되고 부족한 서브셋을 지원합니다.

도스 배치 파일을 쉘 스크립트로 변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가끔은 변환된 쉘 스크립트가 원래 도스 배치 파일보다 더 이해하기 쉬운 경우도 있습니다.

예 G-1. VIEWDATA.BAT: 도스용 배치 파일

REM VIEWDATA

REM PAUL SOMERSON의 "DOS POWERTOOLS"의 예제에서 영감을 받아 작성


@ECHO OFF

IF !%1==! GOTO VIEWDATA
REM  명령어줄 인자가 없다면...
FIND "%1" C:\BOZO\BOOKLIST.TXT
GOTO EXIT0
REM  문자열이 일치하는 줄을 출력후 종료.

:VIEWDATA
TYPE C:\BOZO\BOOKLIST.TXT | MORE
REM  한 번에 한 쪽씩 전체 파일을 보여줌.

:EXIT0

스크립트 변환을 하면 기능이 다소 개량됩니다.

예 G-2. viewdata.sh: VIEWDATA.BAT 의 스크립트 버전

#!/bin/bash
# VIEWDATA.BAT 를 쉘 스크립트로 변환.

DATAFILE=/home/bozo/datafiles/book-collection.data
ARGNO=1

# @ECHO OFF       여기서 이 명령어는 필요없습니다.

if [ $# -lt "$ARGNO" ]    # IF !%1==! GOTO VIEWDATA
then
  less $DATAFILE          # TYPE C:\MYDIR\BOOKLIST.TXT | MORE
else
  grep "$1" $DATAFILE     # FIND "%1" C:\MYDIR\BOOKLIST.TXT
fi  

exit 0                    # :EXIT0

# GOTO, 라벨, 속임수, 엉터리 구문등이 필요없어졌죠.
# 원래 배치 파일보다 더 짧고, 더 쉽고, 더 깔끔합니다.

자료출처 : http://blog.empas.com/comoff/23024214

출처 : http://tinyworld.tistory.com/80" target=_blank>http://fs.tistory.com/custom/blog/3/33583/skin/images/frame.html?http://tinyworld.tistory.com/80
 
Batch 파일
 
도스에는 명령어를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위한 배치파일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배치파일이 도스환경을 쉽게 만든다는 사실을 과소평가하는데, 컴퓨터를 좀더 쉽게 사용하고 싶다면 배치파일을 꼭 짚고 넘어가는것이 좋습니다.

배치파일이란 ?
컴퓨터의 동작 상태를 살펴 보면 항상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작업이이루어진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스라는 운영체제도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그 명령에 대해 도스가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실행 결과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일일이 키보드를 이용한 타이핑으로 명령을 내려야 하고, 하나의 명령이 내려지면 완료될 때까지 다음 명령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작업 과정이 얼마되지 않는다면 큰 상관이 없으나 그 과정이 매우 길고 복잡하다면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비록 짧은 작업과정이라도 컴퓨터를 켤때마다 매번 똑같은 과정을 일일이 지시하는 것도 귀찮을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배치 파일은 가장 확실한 해결책입니다.

배치파일의 기능은 순차적이고 반복된 동일한 작업 과정을 몇개의 혹은 수십, 수백 개의 연관된 명령어를 하나의 파일로 집약하여 그 하나의 파일(배치파일)만 실행함으로써 원하는 작업 과정을 수행하는것입니다.배치파일에 붙는 확장자는 .bat(batch 의 약어) 입니다.도스에서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com, .exe 확장자가 붙는 외부 명령어와 함께 실행 가능한 파일로 분류됩니다.차이가 있다면 .com, .exe 명령어는 컴퓨터만 해석 가능한 기계어 코드로 구성되어 있는반면, 배치 파일은 사람이 알아볼수 있는 일반 텍스트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문서작성에 이용하는 워드프로세서나 텍스트에디터 등을 이용해 배치 파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워드프로세서는 덩치가 크고 원래 목적이 편집과 출력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단순한 배치 파일을 작성하는 데는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저장할때도 워드프로세서 고유의 포맷(예" .hwp 확장자를 가지는 아래아한글 데이터 파일)으로 저장하면 인식이 되지 않으므로 아스키 파일로 저장해야 합니다.가장 편리한 방법은 일반 문서 에디터( 도스의 Edit, Q에디터,U에디터 등)를 이용하거나 도스의 'Copy Con' 명령으로 배치 파일을 만드는 것입니다.다음과 같이 'Copy con 파일명' 형식으로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도스 프롬프트 상태에서 편집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
C:Bats> copy con Timedate.bat
cls
time
date
^Z

   1 File(s) copied
-------------------------------
여기서 쓰고 싶은 대로 적기만 하면 됩니다.제일 마지막행의 ^Z 는 파일의 제일 마지막 부분이라는 것을 도스에게 알려주는 코드로 <  Ctrl + Z > 키 또는 F6 키를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엔터키를 한번더 누르면 '1 File(s) copied' 라는 메세지가 출력되는데, 이는 방금 ' copy con 파일명 ' 으로 작성된 문서파일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졌다는 뜻입니다.위의 문서파일은 확장자가 .BAT 로 붙었기 때문에 실행가능한 외부 명령어가 되는데, 배치파일은 명령이 기록되어 있는 순서대로 실행되기 때문에 timedate.bat 를 실행시키면 먼저 화면을 지우고 난뒤 시스템의 시간과 날짜를 설정합니다.간단한 배치파일은 'copy con 파일명' 으로 작성하는 것이 다른 프로그램의 도움없이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치파일이 조금 길거나 작성중에 수시로 편집할 일이 생기는 경우에는 불가능합니다. 'copy con 파일명' 으로 파일을 작성하면 행으로 다시돌아갈 수 없을 뿐 아니라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배치파일을 만들 필요가 있을때는 문서 에디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배치파일 작성 명령어 9인방

배치 파일은 파일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명령의 순서대로 실행됩니다.가장 대표적인 것이 부팅에 이용되며, 컴퓨터의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는 Autoexec.bat 파일입니다. 그런데 만약 배치 파일의 실행의 순서를 순차적이 아닌멀티부팅용 Autoexec.bat 처럼 사용자 마음대로 정하고 싶다면 배치파일에 제공되는배치명령어의 용도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CALL


현재 실행중인 배치 파일을 종료하지 않고 필요한 다른 배치파일을 호출하여 실행한 다음 원래의 배치파일로  다시 돌아오려고 할 때 사용됩니다.

◇ 사용법 : Call [drive:][경로]<배치파일명>[.BAT]

◇ 예  :  Call c:batssample.bat

어떤 배치 파일을 실행하는 도중에 경로 C:bats 에 있는  sample.bat 파일을 실행한 다음 다시 원래의 배치파일로 돌아옵니다.


2. CHOICE

배치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묻기 위해 사용됩니다. 배치 파일 제작자가 설정한 물음을 출력하면서 지정된 키 입력을 기다립니다. 이 명령은 배치파일 내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법 :choice [/C[:]문자열][/N][/S][/T[:]기본키,대기시간][메세지]

◇ 옵션

- /C[:]문자열  :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키목록을 [] 괄호 내에 ', ' 로 구분하여 출력하고  /C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YN이 사용됩니다.

- /N : 프롬프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합니다.

- /S : 사용자의 입력에서 소문자, 대문자를 구분하도록 합니다.

- /T[:]기본키, 대기시간 : 기본키를 지정한 후 대기시간 동안 사용자의 키 입력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기본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고 진행됩니다. 지정 가능한 대기시간은 초단위이며 0에서 99 사이의 값입니다.

- 메세지 : 화면에 출력될 메세지를 지정합니다.

◇ 예 : choice /c:abCD /s /t : C, 5 다음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a, b, C, D
◇ 설명 : 입력 가능한 키를 a,b,C,D로 한정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데, 만약 5초 내에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없다면 C 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그리고 화면에는
'다음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a, b, C, D[a,b,C,D]? '
라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3. ECHO

배치파일 실행중에 명령어를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며, 그 상태를 표시합니다. 한편 ECHO 명령 뒤에 오는 메세지는 화면에 나타납니다.

◇ 사용법 : echo [on/off] [문자열]

◇ 옵션
- on : 배치 파일 실행중에 그 배치 파일 내의 명령어를 화면에 표시합니다.
- off : 배치 파일 실행중에 명령어를 화면에 출력하지 않도록 합니다.
- 문자열 : 화면에 출력하고 싶은 메세지를 적어줍니다.
- 없음 : 현재 ECHO 설정 상태를 표시합니다.

◇ 예  :

echo off   
☞ 현재 실행중인 배치 파일 내의 명령어를 화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함.
echo
echo 안녕하세요?~
☞ 현재 echo 설정상태를 표시하며  안녕하세요?~ 라는 문구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4. FOR

지정된 집합 중의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명령으로 설정한 처리를 반복 실행합니다.

◇ 사용법

For %%<변수> IN (<집합>) DO <명령> [<옵션>]    ☞ 배치파일용.
For %<변수> IN (<집합>) DO <명령> <옵션>]        ☞ 순차처리용.


◇ 옵션

- %%<변수>, &<변수>  : 변수로 사용되는 것은 임의의 영문자로 1자만 허용됩니다.  주의할 점은 배치파일에서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처럼 두개를 연달아 사용해야 하며, 일반 도스 프롬프트에서 사용할 때는 % 하나만 사용합니다.

- <집합> : %%<변수>에 대입하고 싶은 값을, 또는 스페이스로 구분하여 대입하고 싶은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 <명령> : %%<변수>에 대입되어 있는 값에대해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싶은 명령을 지정합니다.

- <옵션> : 지정한 명령의 옵션이나 FOR 명령에서 지정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 예

for  %%f  in  (bak tmp $$$) do del *.%%f /p       ☞ 배치파일의 경우
for %d  in  (read,wh,file) do hlist %d*.*              ☞ 도스 프롬프트에서 실행시

◇ 설명 : 첫 번째는 bak, tmp, $$$ 를 순서대로 %%f 환경 변수에 대입하여 차례대로
 DEL *.bak /p, DEL *.tmp /p, DEL *.$$$ .p 를 실행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게됨.

두번째는 READ,WH,FILE 를 순서대로 %d 환경변수에 대입하여 차례대로
 HLIST READ*.*, HLIS TWH *.* , HLIST FILE *.* 를 실행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


5. GOTO

배치 처리의 흐름을 <레이블>에서 정의되어 있는 위치로 옮깁니다.

◇ 사용법 : Goto <레이블>

◇ 예 :
goto loop
:loop
각종 처리할 내용


◇ 설명  : 레이블 loop 로 배치 처리의 제어권을 이동시켜 loop 항목에 지정된 각종 처리할 내용을 실행시킵니다.

◇ 참고  : 배치 파일에 레이블 표시는 레이블명 앞에 콜론(:) 을 붙여주며 줄을
              바꿔 맨 앞에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6. IF

지정한 조건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배치 처리를 진행합니다.

◇ 사용법 :  If [NOT] <조건> <명령>

◇ 옵션

- NOT : 지정한 조건의 반대 조건일 때만 실행합니다.

- 조건

- ERRORLEVEL <수치> : 바로 전에 실행한 명령(프로그램)의 종료 코드가 <수치> 이상일 때에는 참이 되고 <명령> 이 실행됨.

- <문자열1> == <문자열2> : <문자열1> 과 <문자열2> 가 같을 때에만 참이되고 <명령>이 실행됩니다. 주의할 점은 문자열의 대,소문자가 구별되며, 문자열중에 구분기호(콤마,스페이스,세미콜론,등호,탭)가 포함되어 있으면 않됩니다.

- EXIST <파일명> : <파일명>으로 지정한 파일(경로포함)이 존재할 때에만 참이 되고    <명령>이 실행됩니다. <파일명>에는 와일드카드 문자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 예 :
if errorlevel 2 goto quit
if not %1 ==%2 goto process
if exist d:worktemp.$$$ del d:worktemp.$$$


◇ 설명 :
직전에 실행한 명령의 종료 코드가 2 이상일 경우 레이블  QUIT로 이동합니다.

환경변수 %1과 환경변수 %2에 대입되어 있는 문자열이 같지 않을 경우에만 레이블 PROCESS 로 이동합니다.

경로 D:Work 에 temp.$$$ 라는 파일이 존재하면 그 파일을 삭제합니다.


7. PAUSE

배치 파일 실행을 일시 정지합니다.

◇ 사용법 : Pause [문자열]

◇ 옵션

- 문자열 : 문자열을 생략하면 'press any key to continue...'라는 메세지가 화면에  출력됩니다. 만약 PAUSE 명령 뒤에 어떤 메세지를 지정하여 그 메시지를  출력하고 싶다면 'Echo On' 명령을 우선 내려야 합니다.

◇ 예 :   
 echo on
 pause  준비가 되었으면 아무키나 누르세요...


◇ 설명 :  배치 처리 중 pause명령을 만났을때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고 싶다면 예 에서와 같이 반드시 echo on 명령이 선행되어야 하며 예의 경우에는  ' 준비가 되었으면 아무키나 누르세요...' 라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 참고 :  위 처럼 하면 화면에 Pause 라는 명령어까지 같이 출력되므로 이런경우
echo on
echo  준비가 되었으면 아무키나 누르세요...
pause > Null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출력하고자 하는 메세지만 화면에 출력됩니다.


8. REM

배치 파일 내에 주석문을 부여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사용법 : rem [문자열]

◇ 옵션    

- 문자열 : 주석문으로 쓰고 싶은 것을 적어줍니다.

◇ 예 : REM 이 배치파일은 샘플입니다.

배치파일내의 적당한 위치에 적절한 주석문을 붙여두면 배치 처리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습니다.


9. SHIFT

배치 파일에 주어진 파라미터(%1~%9)와 실행시에 지정되는 값과의 대응을 하나씩 뒤로 이동하여 표시합니다.

◇ 예

:loop
if "%1" == " " goto end
echo %0 %1 %2 %3 %4 %5 %6 %7 %8 %9
shift
goto loop
:end    


위와 같이 배치 파일을 작성해두고 다음과 같이 배치파일을  실행해 보면 shift 명령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C:bats> test.bat A B C D E F G H I J 0 1 2 3 4 5  똑같이 입력하고 실행후 확인
 

 전국 시 군 구 (기초자치단체) 3글자 영문 약어 리스트 입니다.

TXT파일과 Excel파일로 정리해봤습니다.

-----------------------------------------------------------------------------------------------
네임 워킹 그룹     전길남
RFC-KR-104     KAIST


분류 : 참고         1998년 10월

 전국 시 군 구 (기초자치단체) 3글자 영문 약어 리스트
 Three Letter English Acronyms for Lower Level Local Autonomy

문서 상태
        이 문서는 인터넷 공동체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종류의 표준도 지향하지 않는다. 문서의 보급에 제한이 없다.
1. 개요
이 메모는 전국 시,군, 구 (기초자치단체) 의 3글자 영문 약어리스트를 기술한다.

2. 전국 시도군 약어리스트
  * :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에 등록된 공항약자임[1]

    한글명   영문명   약어
   --------------  ------   ----
2.1  서울특별시  SEOUL   SEL *
         종로구                   CHONGNO  CNO
       중  구              CHUNG   CGS
       용산구              YONGSAN   YSN
       성동구              SONGDONG  SDG
       광진구              KWANGJIN   KJI
       동대문구            TONGDAEMUN  TDM
       중랑구              CHUNGNANG  CNG
       성북구              SONGBUK   SBK
       강북구              KANGBUK   KBK
       도봉구              TOBONG   TBG
       노원구              NOWON   NWN
       은평구              UNPYONG   UPG
       서대문구            SODAEMUN  SDM
       마포구              MAPO   MPO
       양천구              YANGCHON  YGC
       강서구              KANGSO   KSS
       구로구              KURO   KRO
       금천구              KUMCHON   KCN
       영등포구            YONGDUNGPO  YDP
         동작구              TONGJAK   TJK
       관악구              KWANAK   KNK
       서초구              SOCHO   SCO
       강남구              KANGNAM   KNM
       송파구              SONGPA   SPA
       강동구              KANGDONG  KDG

2.2   부산광역시  PUSAN   PUS *

         중  구              CHUNG   CGP
       서  구              SO   SOP
       동  구              TONG   TDG
       영도구              YONGDO   YDO
       부산진구            PUSANJIN  PSJ
       동래구              TONGNAE   TNE
       남  구              NAM   NAM
       북  구              PUK   PUK
       해운대구            HAEUNDAE  HUD
       사하구              SAHA   SHA
       금정구              GUMJONG   GJG
       강서구              KANGSO   KSP
       연제구              YONJE   YJE
       수영구              SUYONG   SYG
       사상구              SASANG   SAS
       기장군              KIJANG   KJG

2.3  대구광역시  TAEGU   TAE *

         중  구                 CHUNG   CGG
       동  구              TONG   TGG
       서  구              SO   SOG
       남  구              NAM   NMG
       북  구              PUK   PKG
       수성구              SUSONG   SSG
       달서구              TALSO   TSO
       달성군              TALSONG   TSG

2.4  인천광역시  INCHON   INC *

         중  구              CHUNG   CGI
       동  구              TONG   TGI
       남  구              NAM   NMI
       연수구              YONSU   YSU
       남동구              NAMDONG   NDG
       부평구              PUPYONG   PPG
       계양구              KYEYANG   KYY
       서  구              SO   SOI
  강화군              KANGHWA   KHI
       옹진군              ONGJIN   OJI

2.5  광주광역시  KWANGJU   KWJ *

         동  구              TONG    TGK
         서  구              SO   SOK
       남  구              NAM   NMK
       북  구              PUK   PKK
       광산구              KWANGSAN   KSK

2.6  대전광역시  TAEJON   TAJ *

         동  구              TONG   TGJ
       중  구              CHUNG   CGJ
       서  구              SO   SOJ
       유성구              YUSONG   YSG
       대덕구              TAEDOK   TDK

2.7  울산광역시  ULSAN   USN *

         남  구              NAM   NMU
       동  구              TONG   TGU
       울주구              ULJU   UJU
       중  구              CHUNG   CGU
       북  구   PUK   PKU

2.8  경기도   KYONGGI   KYG
     수원시  SUWON   SWN
   성남시  SONGNAM   SNM
   의정부시  UIJONGBU  UJB
   안양시  ANYANG   AYG
   부천시  PUCHON   PCN
   광명시  KWANGMYONG  KMG
   동두천시  TONGDUCHON  TDC
   안산시  ANSAN   ANS
   고양시  KOYANG   KOY
   과천시  KWACHON   KWC
   구리시  KURI   KRI
   평택시  PYONGTAEK  PTK
   남양주시  NAMYANGJU  NYJ
   오산시  OSAN   OSN
   시흥시  SHIHUNG   SHG
   군포시  KUNPO   KNP
   의왕시  UIWANG   UWG
   하남시  HANAM   HNM
   파주시   PAJU   PJU
      이천시  ICHON   ICH
      용인시  YONGIN   YIN
      안성시  ANSONG   ASG
      김포시  KIMPO   KMP
   양주군  YANGJU   YGJ
   여주군  YOJU   JYV
   화성군  HWASONG   HWA
   광주군  KWANGJU   KGJ
   연천군  YONCHON   YNC
   포천군  POCHON   POC
      가평군  KAPYONG   KPG
      양평군  YANGPYONG  YPG

2.9    강원도  KANGWON   KAW
      춘천시  CHUNCHON  CHC
      원주시  WONJU   WJU *
      강릉시  KANGNUNG  KAG *
      동해시  TONGHAE   THE
      태백시  TAEBAEK   TBK
      속초시  SOKCHO   SHO *
      삼척시  SAMCHOK   SCK
      홍천군  HONGCHON  HOC
      횡성군  HOENGSONG  HOS
      영월군  YONGWOL   YWL
      평창군  PYONGCHANG  PCG
      정선군  CHONGSON  CSN
      철원군  CHORWON   CRW
      화천군  HWACHON   HWC
      양구군  YANGGU   YGU
      인제군  INJE   IJE
      고성군  KOSONG   KOS
      양양군  YANGYANG  YYG
 
2.10  충청북도   CHUNGBUK  CCB
      청주시  CHONGJU   CJJ *
      충주시  CHUNGJU   CUJ
      제천시  CHECHON   CEC
      청원군  CHONGWON  CHW
      보은군  POUN   PUN
      옥천군  OKCHON   OCN
      영동군  YONGDONG  YDN
      진천군  CHINCHON  CIC
      괴산군  KOESAN   KOE
      음성군  UMSONG   UMS
      단양군  TANYANG   TNY
  
2.11  충청남도   CHUNGNAM  CCN
      천안시  CHONAN   CAN
      공주시  KONGJU   KOJ
      보령시  PORYONG   PRG
      아산시  ASAN   ASN
      서산시  SOSAN   SSN
      논산시  NONSAN   NSN
      금산군  KUMSAN   KMS
      연기군  YONGI   YGI
      부여군  PUYO   PYO
      서천군  SOCHON   SOC
      청양군  CHONGYANG  CYN
      홍성군  HONGSONG  HSG
      예산군  YESAN   YES
      태안군  TAEAN   TAN
      당진군  TANGJIN   TJN
 
2.12  전라북도   CHONBUK   CLB
      전주시  CHONJU   CNJ
      군산시  KUNSAN   KUV *
      익산시  IKSAN   ISN
      정읍시  CHONGUP   CUP
      남원시  NAMWON   NMW
      김제시  KIMJE   KMJ
      완주군  WANJU   WAN
      진안군  CHINAN   CIN
      무주군  MUJU   MJU
      장수군  CHANGSU   CSU
      임실군  IMSHIL   ISL
      순창군  SUNCHANG  SNC  
      고창군  KOCHANG   KOC
      부안군  PUAN   PAN
 
2.13  전라남도   CHONNAM   CLN
         목포시  MOKPO   MPK *
      여수시  YOSU   RSU *
      순천시  SUNCHON   SCN
      나주시  NAJU   NJU
      광양시  KWANGYANG  KWY
      담양군  TAMYANG   TAM
      곡성군  KOKSONG   KKS
      구례군  KURYE   KRE
      고흥군  KOHUNG   KHG
      보성군  POSONG   PSG
      화순군  HWASUN   HSN
      장흥군  CHANGHUNG  CHG
      강진군  KANGJIN   KJN
      해남군  HAENAM   HAE
      영암군  YONGAM   YAM
      무안군  MUAN   MAN
      함평군  HAMPYONG  HPG
      영광군  YONGGWANG  YGG
      장성군  CHANGSONG  CSG
      완도군  WANDO   WDO
      진도군  CHINDO   CHD
      신안군  SHINAN   SAN
  
2.14  경상북도   KYONGBUK  KSB
      포항시  POHANG   KPO *
      경주시  KYONGJU   KYJ
      김천시  KIMCHON   KMC
      안동시  ANDONG   ADG
      구미시  KUMI   KMI
      영주시  YONGJU   YJU
      영천시  YONGCHON  YGN
      상주시  SANGJU   SJU
      문경시  MUNGYONG  MYG
      경산시  KYONGSAN  KYS
      군위군  KUNWI   KWI
      의성군  UISONG   USG
      청송군  CHONGSONG  CHS  
      영양군  YONGYANG  YOY
      영덕군  YONGDOK   YDK
      청도군  CHONGDO   CDO
      고령군  KORYONG   KRG
      성주군  SONGJU   SGJ
      칠곡군  CHILGOK   CGK
      예천군  YECHON   YEC *
      봉화군  PONGHWA   PHA
      울진군  ULCHIN   UCN
      울릉군  ULLUNG   ULG
 
2.15  경상남도   KYONGNAM  KSN
      창원시  CHANGWON  CWN
      마산시  MASAN   MSN
      진주시  CHINJU   HIN *
      진해시  CHINHAE   CHE
      통영시  TONGYONG  TYG
      사천시  SACHON   SAC
      김해시  KIMHAE   KHE
      밀양시  MIRYANG   MRY
      거제시  KOJE   KJE
      양산시  YANGSAN   YAS
      의령군  UIRYONG   URG
      함안군  HAMAN   HMN
      창녕군  CHANGNYONG  CYG
      고성군  KOSONG   KSG
      남해군  NAMHAE   NHE
      하동군  HADONG   HDG
      산청군  SANCHONG  SCG
      함양군  HAMYANG   HYG
      거창군  KOCHANG   KCG
      합천군  HAPCHON   HCN

2.16  제주도   CHEJU   CHJ
         제주시  CHEJU   CJU *
          서귀포시  SOGWIPO   SGD
      북제주군  PUKCHEJU  DCJ
      남제주군  NAMCHEJU  NCJ    


3. 저자 연락처

   전길남
   305-701, 대전시 유성구 구성동 373-1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우편 : chon@cosmos.kaist.ac.kr
   http://cosmos.kaist.ac.kr
   전화: +82-42-869-3514
   팩스:        869-5554


4. 참고문헌

  [1]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http://www.icao.org
  [2] 행정전산망 추진위원회, 행정전산망 전산기이름 및 주소체계 표준, 1995년 8월.
  [3] 행정자치부 자치 지원국, 전국 행정 구역 현황, 1998년 4월.
        http://www.mogaha.go.kr
  [4] 전윤산, 16개 시도 영문 3글자 약자, RFC-KR-106,  1998년 10월.

언제부터인가 내가 사용하는 PC에는 Office 2007이 돌아가고 있었다.

처음에는 불편한가 싶더니, 델파이에서 사용하던 메뉴바에... 얼마 지나지 않아 적응해서인지 이제는 ㅎㅎㅎ

^^;

다음의 파일은 Microsoft Office 2k7에서 PDF파일 저장을 가능하게 끔~ 해주는 추가 기능 제공 팩(?)이다.


Addition~!!!
PDF로 저장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f1fc413c-6d89-4f15-991b-63b07ba5f2e5&DisplayLang=ko

XPS로 저장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ko&FamilyID=bce8f991-f0a4-47a0-866b-2fd84a329e02

PDF 및 XPS로 저장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ko&FamilyID=4d951911-3e7e-4ae6-b059-a2e79ed87041


XPS : XML Paper Specification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XML_Paper_Specification
Microsoft 제공
http://www.microsoft.com/whdc/xps/xpsspec.mspx

NDSL로 동영상을 보기위해서는, 여러 작업(?) 들을 해주어야 한다.
사이즈 변환도 있어야 할테고, 코덱변환도 있어야 할테고 말이다...
그 가운데, 실행만으로 사이즈와 코덱을 바꿔주는 착한 놈을 발견했다. (구해받았당.....ㅋㅋ)


* 사용법 굉장히 간단하다... ㅡㅡ;;
   압축을 풀으면, 여러 실행파일 가운데, "dpgenc.exe" 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 처음 실행하면, default Language이 JPN으로 되어있어서, 일본어로 되어있다. -> KOR로 바꿔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일 선택을 누르고 변환할 파일을 선택 후 "시작" 을 클릭~
.... 끝... ㅡㅡ;;
시간은 실제 시간보다 조금 덜 걸린다... ㅎㅎ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부적인 설정도 가능한데, 언어설정 옆의 "추가설정"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펼침메뉴가 나온다. 여러 설정들이 나오는데....
적당히 입맛대로 고르면 되겠다.
솔직히... 잘 모르는 상황에서
그냥 두는 것을 권장하는 것은...

조금 속 보일까!?!?




















* 단점

아래와 같이 mpg / mpeg / avi / wmv 를 읽을 수 있다고 하였으나, 여기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읽을 수 없는 코덱일 경우, 다음과 같이... 두둥~!!!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 곰 인코더 등의 변환프로그램으로, wmv나 mpg파일로 변환... 다시 적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T.T



* 변환 테스트
537M mpg파일 -> 138M dpg파일로 변환 1/3로 줄어든 듯...흠


* 출처를 알 수 없지만, 제작자에게 감사를....^^a

이제 R4에서도 한국 유저들에 대한 수요를 파악한 것일까?!?
정식으로 한국어 버전이 나온다...ㅎㅎ

덕분에 E-Book의 목차 역시 한글로...ㅎㅎ

좋기도 좋을씨고...ㅎㅎ


+ Recent posts